연금저축으로 kb증권 온국민2060tdf를 할려는데 제목대로 개인연금저축에 kb증권 온국민2060tdf를 월 12만원씩 적립할려고 합니다. 총보수가 0.65이고
제목대로 개인연금저축에 kb증권 온국민2060tdf를 월 12만원씩 적립할려고 합니다. 총보수가 0.65이고 합성총보수가 0.72던데 1년을 적립하면 144만원인데 이게 보수가 어떻게 운용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매달 12만원씩 넣으면 계속 그달에 매수한 12만원에대한 보수비용만 내는건지 제가 총 적립한 금액을 보수액으로 잡아가는지에 대한건지 모르겠네요 보수 금액이 얼마나 이용되는지 좀 가르쳐 주세요!! 예를들어서 이금액으로 쭉 적립할시 총 보수액도 가르쳐 줄 수 있나요...??
1. 총보수 (TER - Total Expense Ratio): 0.65%
이것은 'KB 온국민 TDF 2060' 펀드 자체를 운용하는 데 드는 직접적인 비용입니다. 펀드매니저의 운용 보수, 증권사/은행 등 판매사에 지급하는 판매 보수, 자산을 보관/관리하는 수탁/사무관리 보수 등이 포함됩니다.
합성총보수 (Synthetic TER): 0.72%
TDF(Target Date Fund)는 보통 '재간접펀드(Fund of Funds)' 형태가 많습니다. 즉, KB 온국민 TDF 2060 펀드가 또 다른 여러 개의 국내외 주식형 펀드, 채권형 펀드 등에 투자하여 운용됩니다.
이때 KB 온국민 TDF 2060이 투자하는 하위 펀드들(피투자펀드)도 자체적으로 보수를 부과합니다.
합성총보수는 KB 온국민 TDF 2060 자체의 총보수(0.65%)에다가, 이 펀드가 투자한 하위 펀드들의 보수까지 모두 합산하여 투자자가 실질적으로 부담하게 되는 총비용률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TDF 같은 재간접펀드에 투자할 때는 **합성총보수(0.72%)**를 실제 비용으로 생각하시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2 .보수는 어떻게 부과되냐면
펀드 보수는 매달 새로 넣는 12만 원에 대해서만 부과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펀드에 쌓여있는 전체 적립금(총 평가금액)에 대해 부과됩니다.
연간 보수율(합성총보수 0.72%)을 365일로 나누어 매일매일 계산됩니다.
이 매일 계산된 보수 금액은 펀드의 **기준가격(NAV - Net Asset Value)**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즉, 펀드의 하루 수익률이 발표될 때 이미 보수가 차감된 후의 가격으로 공시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별도로 보수 금액이 계좌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확인하기는 어렵고, 펀드의 수익률이나 기준가격 자체가 보수를 반영한 결과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적으로 월 12만 원씩 꾸준히 납입하고 투자 수익까지 발생하여 계좌의 총 잔액(평가금액)이 커질수록, 그 총 잔액에 비례하여 부과되는 보수 금액의 절대적인 크기도 점점 커지게 됩니다.
3. 보수 금액은 실제로 얼마나 될까요?
미래의 정확한 보수 금액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보수는 매일 변동하는 펀드의 평가금액을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이 평가금액은 시장 상황에 따른 투자 수익률에 따라 계속 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투자 수익률을 0%로 가정하고 오직 납입 원금만 쌓인다고 했을 때의 보수 금액을 매우 단순화하여 추정해 보겠습니다. (실제로는 투자 수익률에 따라 금액이 달라집니다!)
계산 기준: 연말 기준 총 납입 원금 × 합성총보수율(0.72%)
(주의: 실제로는 연평균 잔액으로 계산하는 것이 더 정확하며, 아래는 이해를 돕기 위한 연말 잔액 기준의 단순 추정치입니다.)
글 목록으로 돌아가기